2D 모델링시 하천 구간을 꼭 비활성 영역으로 지정해야 하나요?
최고관리자
xpswmm
0
6189
2019.10.23 09:55
하천 구간을 형상화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.
1. 하천 구간을 비활성 영역으로 설정하고 1D로 해석한 다음 1D/2D 인터페이스 라인, 1D/2D 연결 등의 2D 객체를 이용하여 2D 영역으로 월류된 유량을
보내는 방법이 있습니다. 만약 자연형 또는 제형 단면으로 설정한 링크를 비활성 영역으로 설정하지 않고 모델링 할 경우 1D 해석만 수행되기 때문에
2D 침수해석 결과를 살펴볼 수 없습니다.
2. 1D 링크 없이 2D 지형(DTM) 만으로 모델링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 이 방법을 적용할 때에는 반드시 정밀한 DTM이 구축되어 있어야 하며,
격자 확장영역 셀 크기를 하천 폭의 1/4~1/5로 설정해야 하천 형상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.(i.e 폭 20m 하천일 경우 셀 크기는 4~5m로 설정).
셀 개수의 제한 등으로 하천 형상을 구현하지 못할 경우에는 하천 제방 라인을 따라 마루선을 생성해줌으로써 하천을 형상화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제외지의 흐름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합니다.